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il
- vscode
- return
- JavaScript
- 개발자북클럽
- Kotlin
- Java
- break
- JavaScript 이벤트
- 인스턴스
- CREATE
- 리액트
- VS Code
- CSS
- 제어문
- 노마드코더
- 개발자 번아웃
- while
- MySQL
- 노개북
- 자바스크립트
- If
- 메서드
- Today I Learned
- 버전 표시 방법
- IT잡학사전
- react
- HTML
- continue
- 이클립스 설치
- Today
- Total
목록IT잡학사전 (9)
윤제니
🗓️ 2024.02.20 화 Today I Learned DAY12 📌 오늘 읽은 범위: 35 - 38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 해시함수 해시 함수를 사용하면 비밀번호 시스템을 더 안전하게 구현 가능하다 [ 해시 함수 규칙 ] 1.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출력값을 가진다 2. 입력값이 아주 살짝만 바뀌어도 출력값은 엄청나게 크게 바뀐다 3. 반대로 입력한다고 해서 원래 값이 나오지 않는다 => 한쪽 방향으로만 설계된 함수이기 때문! 위의 3가지 규칙을 이용하면 꽤 괜찮은 비밀번호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그치만, 해시 함수도 완벽하진 않다!!! "레인보우 테이블" 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 레인보우 테이블은 해시 함수가 변경한 값을 원래의 값과 연결한 표이다. =..
🗓️ 2024.02.18 일 Today I Learned DAY10 📌 오늘 읽은 범위: 30 - 34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SQL SQL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DBMS와 대화하기 위한 언어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창고 역할만 한다. 데이터를 직접 정리하거나 처리하는 능력이 없다. 그런 역할을 하는게 DBMS이다. DBMS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SQL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을 하려면 DBMS를 거쳐야 한다 [ DBMS 종류 ] MySQL, PostgreSQL, SQLite, Oracle, MariaDB 등 NoSQL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document DB): 데이터 형식이 매우 자유롭다 - 몽고디비(Mongo DB) 데이터를 제이슨(JSON) 도큐먼트 형태로 저장 [..

🗓️ 2024.02.17 토 Today I Learned DAY9 📌 오늘 읽은 범위: 26 - 29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스택과 큐가 뭐죠? 큐나 스택은 배열처럼 실제로 존재하는 개념은 아니다. =>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어떤 규칙만 부여하면 되기 때문 ex) 배열에 큐의 규칙을 부여하면 그 배열은 큐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개념을 "추상 자료구조"라고 한다. [ 스택 ] - 위에서 부터 데이터를 쌓는다 - 값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맨 위라고 정해 놓은 부분에서만 그 작업을 해야 하고, - 데이터를 중간에서 빼거나 할 수 없다 - LIFO: Last In, First Out /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빠져나간다 [ 큐 ] - 위로 데이터를 쌓는다 - 아래..
🗓️ 2024.02.15 목 Today I Learned DAY7 📌 오늘 읽은 범위: 22 - 25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알고리즘 컴퓨터에게 내리는 지시 사항을 나열한 것 패스파인더 알고리즘 : 목적지까지 최대한 빨리 가는 방법 압축 알고리즘 : 이미지를 최대한 덜 손상하면서도 용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 (ex. PNG, JPG) 자료구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찾기 위해 사용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프로그램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짐 데이터 크기 기준 : 데이터를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정리하는 자료구조 검색을 위한 인덱스 기준 : 이름표를 붙여서 정리하는 자료구조 생성 시간 기준 : 데이터가 들어오는 순서로 정리하는 자료구조 시간 복잡도 프로그램의 작업 속도가 ..
🗓️ 2024.02.14 수 Today I Learned DAY6 📌 오늘 읽은 범위: 16 - 21 👀 3줄 요약 HTTP는 사용자와 서버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규칙 사용자와 서버는 항상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HTTP 특징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기억해야 하는 경우 "쿠키"가 필요! 서버는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24시간 내내 접속 요청에 응답한다.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쿠키 (먹는거 아니야~) 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브라우저를 통해 컴퓨터에 보관하는 기록물 [ HTTP ] - 사용자와 서버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일종의 규칙 - HTTP 특징으로 서버는 항상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주고 받은 후 연결 상태를 끊음 => 서버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기억해야 하는 경우도 필요..

🗓️ 2024.02.13 화 Today I Learned DAY5 📌 오늘 읽은 범위: 11 - 15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누군가 미리 작성해 놓은 코드이고, 개발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 주는 도구 누가 누구를 제어하고 있는가? 어떤 도구에 대해서 모든 결정을 할 수 있음 => 라이브러리 누군가 정한 규칙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고 있음 =>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필요할 때 불러서 사용하고, 제어가 가능함 사용한 부분만 고치면 되므로 교체 난이도가 쉬움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의 규칙을 따라야 함 (규칙: 폴더 이름, 파일 구성 등등) 규칙의 모든 것을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난이도가 어렵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프로그램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