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IT잡학사전
- react
- til
- Java
- JavaScript 이벤트
- return
- CSS
- HTML
- Kotlin
- MySQL
- 메서드
- 노개북
- CREATE
- 개발자 번아웃
- continue
- 자바스크립트
- Today I Learned
- 리액트
- 노마드코더
- while
- 제어문
- 버전 표시 방법
- VS Code
- 이클립스 설치
- 개발자북클럽
- break
- If
- JavaScript
- vscode
- 인스턴스
Archives
- Today
- Total
윤제니
노개북 - DAY10. TIL 작성 본문
🗓️ 2024.02.18 일
Today I Learned
DAY10
📌 오늘 읽은 범위: 30 - 34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 SQL
SQL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DBMS와 대화하기 위한 언어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창고 역할만 한다. 데이터를 직접 정리하거나 처리하는 능력이 없다.
그런 역할을 하는게 DBMS이다.
- DBMS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SQL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을 하려면 DBMS를 거쳐야 한다
[ DBMS 종류 ]
MySQL, PostgreSQL, SQLite, Oracle, MariaDB 등
- NoSQL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document DB): 데이터 형식이 매우 자유롭다
- 몽고디비(Mongo DB)
데이터를 제이슨(JSON) 도큐먼트 형태로 저장
[
{ "id": 1, "name": "슬리퍼", "price": 3000}
{ "id": 2, "name": "바지", "price": 5000}
]
예를 들어 반팔이라는 데이터를 SQL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려면 id, name, price에 해당하는 값을 다 마련해야 한다.
반면, JSON 도큐먼트 형태는 대괄호와 중괄호로만 구성하면 되고, 데이터마다 구성도 같을 필요가 없다.
개발자가 원하는 어떠한 모양, 종류의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키값 데이터베이스: 읽고 쓰는 속도가 엄청 빠르다
- 카산드라디비 (CassandraDB)
한 행의 열이 넓다
1초 만에 수만 개의 데이터를 쓸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애플,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우버에서 사용
- 다이나모디비 (DynamoDB)
아마존이 만들었다
1초에 2만 4천개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듀오링고가 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 노드로 관계를 표현한다
열이나 도큐먼트가 필요하지 않다
노드를 사용
-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
시맨틱 버저닝(semantic versioning specification, SemVer)
시맨틱 버저닝 방식으로 버전을 표기하는 대표 기술 "리액트", "장고"
예를 들어 장고의 버전이 4.0.5로 표기되어 있다고 하자
첫 번째 숫자는 "엄청나게 큰 변화", 즉 메이저 업데이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사하는 수준!
두 번째 숫자는 "마이너한" 업데이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를 살짝 업그레이드 하는 정도
세 번째 숫자는 "패치나 버그 수정"을 의미한다.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개북 - DAY13. TIL 작성 (0) | 2024.02.21 |
---|---|
노개북 - DAY12. TIL 작성 (0) | 2024.02.20 |
노개북 - DAY9. TIL 작성 (0) | 2024.02.17 |
노개북 - DAY7. TIL 작성 (0) | 2024.02.15 |
노개북 - DAY6. TIL 작성 (0) | 2024.02.14 |